목록DB (87)
YataNox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kM4mz/btsyOFOCLKX/zHrm4A9YI6Q70lOh5ZkaO0/img.png)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51137 - CAR_RENTAL_COMPANY_CAR 테이블의 자동차 종류별 수를 조회한다. 단, 통풍시트, 열선시트, 가죽시트 중 하나 이상 옵션이 포함된 자동차여야한다. 또한 자동차 수의 컬럼명은 CARS이고 결과를 종류 기준 오름차 정렬한다. 1. car_type 기준 그룹핑한다. 2. options를 like를 사용ㅎ여 통풍시트 가죽시트 열선시트 중 하나라도 있는지 확인한다. - SQL SELECT car_type, count(*) FROM CAR_RENTAL_COMPANY_CAR WHERE options LIKE '%통풍시트%' OR options LIKE '%가죽시트%' OR option..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ukxxN/btsyMyoAsCB/Ud6Z0XcA90W4C0wFFSf7e0/img.png)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57340 - CAR_RENTAL_COMPANY_RENTAL_HISTORY 테이블에서 자동차ID와 자동차 대여여부를 출력한다 단, 대여여부는 2022년 10월 16일에 대여중인 자동차를 대여 중, 아니면 대여가능으로 표시해주고 AVAILABILITY로 표기한다. 또한 반납 날짜가 10월 16일일 경우에도 대여중으로 표기하고 결과를 자동차 id 기준 내림차 정렬한다. 1. car_id 기준으로 그룹핑한다. 2.. case 문으로 시작일이 10월 16일 보다 작거나 종료일이 16일보다 큰 id를 뽑아서 그 값에 속하는 car_id를 대여중 아닌것을 대여 가능으로 출력한다. - SQL mysql : SEL..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ao5F6/btsyJyXoJDd/bMWq3xnCLSZj6dFmk6gCI0/img.png)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33026 - FIRST_HALF, ICECREAM_INFO 테이블의 아이스크림 성분 타입과 아이스크림의 총 주문량으로 조회한다. 단, 총 주문량 기준 오름차 정렬하며 컬럼명을 total_order로 지정한다. 1. 두 테이블을 flavor 기준 조인하고 ingredient_type을 기준으로 그룹핑한다. 2. 그룹핑한 테이블에 SUM 함수로 total_order를 계산해서 조회한다. - SQL SELECT ingredient_type, sum(total_order) total_order FROM FIRST_HALF half, ICECREAM_INFO info WHERE info.flavor = ha..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rSXt7/btsyIHG2wcG/EGKokwJYCMlpGpUHzDUowK/img.png)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44856 - BOOK, AUTHOR, BOOK_SALES 테이블의 저자id, 저자명, 카테고리, 매출액을 조회한다. 단, 2022년 1월 판매 데이터를 기준으로 저자별, 카테고리별 매출액을 구할 것이며, 저자id 기준 오름차, 카테고리 기준 내림차 정렬한다. 1. 2022년 1월의 판매 데이터를 뽑아낸다. 이후 book_id를 기준으로 book과 book_sales 테이블을 조인한다. 2. 카테고리 저자ID 두 값을 기준으로 그룹핑하여 sum 함수를 사용해 그룹별 총 매출액을 구한다. 3. 그룹핑한 테이블과 AUTHOR 테이블을 author_id를 기준으로 조인하여 필요 값을 조인한다. - SQL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pQRqW/btsyJvM9FTk/J8fGC3T0MznY2rFdIMeKIK/img.png)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31123 - REST_INFO 테이블에서 음식 종류, id, 식당이름, 즐겨찾기 수를 조회한다. 단, 음식 종류별 즐겨찾기 수가 가장 많은 식당의 것을 출력하며 음식 종류 기준 내림차 정렬한다. 1. food_type 기준으로 그룹핑해서 food_type과 max(favorites)를 뽑아낸다. 2. 뽑아낸 값에 해당하는 음식별 값들을 추출한다. - SQL SELECT food_type, rest_id, rest_name, favorites FROM REST_INFO WHERE (food_type, favorites) IN (SELECT food_type, MAX(favorites) FAVORITE..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9aWjC/btsyILJeeWy/UGeDyjxeT0oBqxDR1AjGGK/img.png)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33027 - FIRST_HALF, JULY 테이블의 맛을 조회하기 단, 두 테이블의 총 주문량을 더 한 값이 큰 3개를 조회할 것 1. 맛별로 그룹핑한 테이블의 total_order를 sum 해서 조회 2. 조회한 테이블과 FIRST_HALF 테이블을 조인하여 두 total_order 값을 더한 값 조회 3. total_order가 가장 큰 값을 limit과 rownum으로 조회 -SQL mysql : SELECT flavor FROM ( SELECT half.flavor, j.total_order + half.total_order FROM ( SELECT flavor, sum(total_order..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IyQAC/btsyLMN3XLN/QLG0Bsccy5NV6et5wBPb51/img.png)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51138 - CAR_RENTAL_COMPANY_RENTAL_HISTORY 테이블에서 대여기록을 조회한다. 단, 대여 시작일이 22년 9월에 속하는 대여기록이어야하며, 대여기간이 30일 이상이면 장기 대여, 아니면 단기 대여로 표시하는 컬럼을 추가해서 조회한다. 또한 기록 ID 기준 내림차 정렬한다. 1. 대여 시작일이 2022년 9월이 데이터를 조회한다. 2. DATEDIFF, 등을 사용해서 두 날짜 차이를 계산한다. 3. CASE를 사용해 날짜 차이 + 1가 >= 30 이면 장기 대여 아니면 단기 대여인 컬럼을 추가한다. (+1 인 이유는 대여 시작일을 포함해야한다.) - SQL mysql : S..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EaKnT/btsyEDSN0In/YBfKZvBb0o1ZNVZTp8kKv0/img.png)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64668 - USED_GOOS_BOARD와 USED_GOODS_USER 테이블에서 회원 ID, 닉네임, 총 거래 금액을 조회한다. 단, 완료 거래 총금액이 70만원 이상의 회원만 조회한다. 또한 총거래금액 기준 오름차 정렬한다. 1. 상태가 DONE인 거래 게시판들을 조회한다. 2. 작성자 ID를 기준으로 GROUPING한다. 3. 그룹핑한 ID와 ID별 SUM(거래금액) = 총 거래 금액을 조회한다. 4. 조회한 테이블의 작성자 ID와 USED_GOODS_USER 테이블의 유저 id를 조인한다. 5. 총 거래 금액이 70만원 이상인 회원만 거래금액 기준 오름차로 출력한다. - SQL SELECT ..